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철면피, 인면수심, 유구무언 뜻과 유래

반응형

철면피, 인면수심, 유구무언 뜻과 유래

 

1. 철면피

2. 인면수심

3. 유구무언


 

 

 

 


고사성어 철면피의 한자어 뜻은 쇠 철, 낯 면, 가죽 피입니다. 이는 얼굴 가죽이 철로 되어 있을 정도로 얼굴이 두껍고 딴딴하다는 말입니다. 즉, 부끄러움을 모르고 뻔뻔하다는 의미입니다. 이 고사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송나라의 손광헌이 지은 사회풍속과 일화를 모은 복몽쇄언에서 유래합니다. 중국에 왕광원이라는 학자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의 문제는 출세하고자 하는 욕망이 너무 많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출세에 도움이 되는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을 만나면 두 손을 비비며 아부했습니다. 주위 사람들이 보기에 너무 비굴해 보일 정도였습니다.

하루는 높은 관직에 있는 대신과 함께 술을 마시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대신이 왕광원에게 매를 선물을 주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왕광원은 대신이 내리는 선물이라면 기꺼이 매를 맞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 대신은 사정없이 왕광원에게 매질을 했습니다. 그런데 왕광원은 오히려 시원하다며 껄껄거리며 웃었습니다. 그러자 그 대신은 매질을 멈추고 매를 버리고 말았습니다.

나중에 친구들이 그 일을 가지고 얘기를 했습니다. "자네는 간도 없고 쓸개도 없나? 다른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수치스럽지도 않나?"며 왕광원을 나무랬습니다. 그러자 왕광원은 그 대신에게 잘 보여서 손해 볼 것 없지 않냐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왕광원을 철면피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철면피가 유래했습니다.

 

 

 

 


인면수심의 한자어 뜻은 사람 인, 낯 면, 짐승 수, 마음 심입니다. 직역하면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말입니다. 이 고사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의 반고가 지은 한서에서 유래입니다. 반고는 흉노족을 가리켜 사람의 얼굴을 가지고 있으나 그 마음은 짐승과 같다고 표현했습니다. 물론 이 견해는 중화사상이 그 밑바탕에 깔려있습니다. 중국 민족이 아니면 다 오랑캐로 일컬었습니다. 그 고사성어가 후대에 사람으로 보기에 어려울 정도로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일컫는 말이 되었습니다.

 

 

 

 


고사성어 유구무언의 한자어 뜻은 있을 유, 입 구, 없을 무, 말씀 언입니다. 직역하면, 입이 있으나 할 말이 없다는 말입니다. 즉, 자신의 처지가 너무 나빠서 변명할 말이 없다는 뜻입니다.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다는 속담과 같은 뜻입니다. 이 고사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한나라와 조나라가 전쟁할 시기의 일화를 알아보겠습니다. 한나라의 한신은 조나라를 공격하고자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 한신은 조나라를 치기 전에 10명의 첩자를 조나라에 보내어 조나라의 전쟁 전략을 알아보았습니다. 조나라에는 대단한 책략가인 이좌거가 있었습니다. 이좌거는 조나라 왕에게 한나라가 지금 먼 곳에서부터 와서 군사들이 지쳤고, 보급로를 차단하면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이라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조나라 왕은 보급로를 차단하는 방법을 쓰지 않고 바로 대전을 벌이는 방법을 취해서 전쟁에서 지고 말았습니다.

이에 한나라의 장군인 한신은 이좌거를 얻고자 그를 생포해오는 사람에게 큰 상금을 걸었습니다. 그래서 이좌거는 생포되어 왔습니다. 그러자 한신은 그를 극진히 대접하며, 연나라와 제나라를 치기 위해서 어떤 전략을 펼치는 것이 좋냐고 물었습니다. 이때에 이좌거는 패자는 유구무언이라 하였습니다. 여기서 고사성어 유구무언이 유래합니다. 한신은 이좌거를 등용하여 결국 연나라를 피한방울 흘리지 않고 쟁취하게 되었습니다.

 

2021.01.31 - [분류 전체보기] - 백아절현, 소탐대실, 다다익선 뜻과 유래

2021.01.28 - [분류 전체보기] - 유유상종, 괄목상대 뜻과 유래

2021.02.08 - [분류 전체보기] - 위편삼절, 군웅할거, 맹모삼천지교 뜻과 유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