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순망치한, 계륵 뜻과 유래

반응형

순망치한, 계륵 뜻과 유래

 

 

1. 순망치한

2. 계륵


 

 

 

 


고사성어 순망치한의 한자어 뜻은 입술 순, 잃을 망, 이 치, 찰 한입니다. 직역하면, 입술이 없으면 이가 차다(시리다)입니다. 즉, 입술과 이는 서로 뗄 수 없는 사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사자성어 순망치한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순망치한은 공자의 제자인 좌구명이 지은 춘추좌씨전에서 유래합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진나라 헌공이 괵나라를 공격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괵나라와 진나라 사이에 우나라가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진나라 헌공은 우나라 왕에게 공손히 길을 좀 빌려달라고 공손히 요청하면서 귀한 보물을 제공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에 우나라 왕은 보물에 마음이 움직였습니다. 이미 마음을 정해놓고 신하들과 의논했습니다. 이때에 궁지기라는 신하가 순망치한을 예로 들어 설명했습니다.

우리나라와 괵나라는 입술과 이의 관계와 같아서 서로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나라를 지킬 수 있다고 건의했습니다. 즉, 진나라에게 길을 터주어 진나라가 괵나라를 점령하면, 반드시 우리나라도 공격하여 점령하려 할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미 보물에 마음이 간 우나라 왕은 진나라의 요청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러자 진나라는 괵나라를 공격하여 무너뜨리고 결국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도 공격하여 무너뜨렸습니다. 여기서 고사성어 순망치한이 유래합니다.

 

 

 

 


계륵의 한자어 뜻은 닭 계, 갈비 륵입니다. 득, 닭의 갈비란 뜻으로서 버리기는 아깝고 별 쓸모도 없는 인물이나 사물을 의미합니다. 내가 가지자니 별로고 남을 주자니 아깝다는 속담과 비슷한 뜻이지요. 그러면 계륵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삼국시대에 위나라의 조조와 촉나라의 유비가 한중이라는 지역을 서로 차지하고자 접전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위나라의 전세가 기울고 있어 조조의 마음이 초조해졌습니다. 한중은 지리적인 요충지라서 포기하기에는 아까운 지역이었습니다. 그래서 조조는 한중을 포기하고 물러설 것인지 아니면 끝까지 이 지역을 지키기 위해 접전할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저녁시간이 되어 신하들과 저녁을 하게 되었는데, 닭고기가 나왔습니다. 조조는 닭고기를 먹으면서 계륵을 보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그때에 맹장인 하우돈이 와서 조조에게 물었습니다. "오늘 저녁 암호는 무엇으로 할까요?" 계륵을 생각하며 고민하던 조조는 무심결에 계륵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때에 눈치가 빠른 지략가인 양수는 조조가 한중을 포기하려한다고 짐작했습니다. 그래서 양수는 신하들에게 말했습니다. "왕이 계륵이라고 중얼거리셨으니, 한중을 계륵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포기하기에는 아깝고 끝까지 지켜내기에는 큰 이득이 없으니 결국 한중을 버리고 물러날 것입니다. 나중에 허둥대지 말고 미리 짐을 싸고 철수할 준비를 합시다." 이에 하우돈은 짐을 싸기 시작했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조조는 대노했습니다. 조조는 양수가 군의 사기를 저하시켰다고 하면서 그의 목을 베었습니다. 그리고 조조는 한중으로 쳐들어가다가 화살을 인중에 맞아 앞니가 부러졌습니다. 그래서 결국 한중에서 철수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계륵이란 말이 유래했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2/02 - [분류 전체보기] - 백척간두, 실사구시, 허장성세 뜻과 유래

2021/01/09 - [분류 전체보기] - 갑통알 뜻 아시나요?

2020/12/12 - [분류 전체보기] - 사면초가, 함흥차사 뜻과 유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