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출어람, 문전성시, 읍참마속 유래

반응형

청출어람, 문전성시, 읍참마속 유래

 

 

1. 청출어람

2. 문전성시

3. 읍참마속


 

 

 

 


청출어람의 한자어 뜻을 보면, 푸를 청, 날 출, 어조사 어, 쪽 람입니다. 직역하면, 쪽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 자체의 푸르름보다 더 푸르다는 의미로, 제자가 스승보다 학문이나 실력이 더 나을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남북조시대에 이밀에 관한 일화에서 청출어람이란 사자성어가 유래했다고 합니다. 이밀은 공번이라는 스승의 지도하에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이밀은 열심히 학문을 연마하여 그의 지식이 놀라우리만큼 성장했습니다. 나중에는 스승인 공번보다 학문이 더 깊게 되었습니다. 이에 스승인 공번이 청출어람이라 하여 자기보다 제자인 이밀의 학문이 더 깊다고 한 데서 이 사자성어가 유래했다고 합니다. 한편으로는 중국의 순자가 이 사자성어를 만들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순자는 맹자의 성선설을 반박해서 성악설을 주창했습니다. 순자는 쪽에서 난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르고, 얼음이 물에서 나왔지만, 물보다 더 차가운 것 같이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낫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기서 청출어람이 유래했다는 말도 있습니다.

 

 

 


사자성어 문전성시의 한자어 뜻을 보면, 문 문, 앞 전, 이룰 성, 저자 시입니다. 직역하면, 문앞이 시장을 이룬다는 말로서 권세가의 집 문에 끊임없이 사람들이 들락날락한다는 말을 의미합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한서의 정숭전에서 유래합니다. 중국 한나라에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된 애제가 있었습니다. 나이가 어리니 외척들이 권세를 잡아 어린 애제를 꼭두각시로 삼으려 했습니다. 이때 충신인 정숭은 애제에게 자주 직언을 했습니다. 애제는 처음에 정숭의 말을 잘 듣다가 외척의 간섭으로 인해, 결국 정숭을 멀리하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정숭이 병이 들어 눕자 사람들이 그를 위로하느라 그의 집을 왕래하였습니다. 이것을 본 조창이라는 신하가 정숭을 모함하였습니다. 조창은 애제에게 가서 정숭의 집 앞이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고 하면서 이것은 필시 정숭이 음모를 꾸미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그러자 애제는 정숭을 불러서 정숭의 집 앞이 문전성시를 이루는 게 어찌 된 일이냐고 다그쳤습니다. 이에 정숭은 제 집 앞은 문전성시를 이루지만 제 마음은 맑은 물과 같으니 믿어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애제는 정숭을 옥에 가두어 버렸고, 정숭은 옥에서 죽고 말았습니다.

 

 

 


고사성어 읍참마속의 한자어 뜻은 울 읍, 벨 참, 말 마, 일어날 속입니다. 직역하면,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의미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읍참마속은 중국 삼국시대에 유비가 죽고난 후, 왕인 유선을 도와 제갈량이 승상으로 있었습니다. 조조의 위나라와 전쟁 중이었는데, 요충지였던 가정을 지켜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와있었습니다. 제갈량은 조조가 가정으로 지략이 뛰어난 사마의를 보낸다는 것을 알고, 누구를 보낼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제갈량이 아끼던 젊은 마속이 손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제갈량은 아직 젊은 마속이 출정하기에는 이르다고 생각하고 승락하지 않았습니다. 마속은 가정을 지키지 못하면 자신의 목을 내놓겠다고 하며, 제갈량을 설득했습니다. 이에 제갈량은 실력이 출중한 왕평을 같이 출정시켰습니다.  제갈량은 마속을 보내면서 가정의 길목을 지키는 전략을 알려주었습니다. 그러나 먼저 가정에 도착한 마속은 제갈량의 책략대로 하지 않고 산 위에 진을 쳤습니다. 이것을 본 사마의는 공격하지 않고 산을 포위한 후, 물길을 끊어버렸습니다. 물길이 끊어지자 포위망을 뚫고 나오려는 마속 부대를 사마의가 공격하여, 결국 마속은 크게 패하고 가정을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마속은 같이 온 왕평의 도움으로 간신히 목숨을 부지하여 제갈량에게 돌아왔습니다.

 

이 전쟁에서 패하여 촉군은 가정에 진출하지 못하고 군대를 철수하게 됩니다. 주위에서 말렸으나, 제갈량은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마속에게 책임을 물어, 눈물을 삼키며 마속을 참수하게 됩니다. 그리고 제갈량도 승상의 자리에서 내려오게 됩니다. 이 일화에서 고사성어 읍참마속이 유래하게 된 것입니다.

 

 

 

2020/12/13 - [분류 전체보기] - 근묵자흑, 이심전심, 고육지책 뜻과 유래

2020/12/12 - [분류 전체보기] - 사면초가, 함흥차사 뜻과 유래

2020/12/11 - [분류 전체보기] - 수주대토, 토사구팽, 관포지교 뜻과 유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