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절치부심, 자강불식, 권선징악 뜻과 유래

반응형

절치부심, 자강불식, 권선징악 뜻과 유래

 

 

1. 절치부심

2. 자강불식

3. 권선징악


 

 

 


고사성어 절치부심의 한자어 뜻은 자를 절, 이 치, 썩을 부, 마음 심입니다. 직역하면, 이를 자르고 마음을 썩게 한다는 말입니다. 즉, 자신을 해롭게 하면서까지 복수를 위해 칼을 간다는 의미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사기의 자객열전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중국 진나라는 갈수록 위세가 등등하여 주변 나라들을 복속시키고 이웃의 연나라를 침공할 기세였습니다. 연나라 왕은 이를 걱정하고 있는데, 힘이 약한 연나라로서는 달리 방법이 없었습니다. 간신히 방도를 생각해냈는데, 자객을 보내어 진나라 왕을 살해하는 것이었습니다. 마침 진나라 왕에게 죄를 짓고 망명온 번어기라는 장군이 있었는데, 진나라 왕이 자신의 가족을 모두 몰살시키고 자신의 목을 가져오는 자에게 큰 상을 걸어놓았습니다. 이에 번어기는 절치부심하며 복수의 칼을 갈고 있었습니다. 여기서 절치부심이라는 사자성어가 유래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형가라는 책략가가 번어기에게 다가가 말했습니다. 진나라 왕을 없애기 위해 자신이 진나라에 가고자 하는데, 번어기의 목을 가져가면, 의심없이 자신을 받아줄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때에 자기가 진나라 왕에게 접근하여 왕을 살해할 계획이라고 했습니다. 이에 번어기는 절치부심하던 자신의 뜻을 알아줘 고맙다고 하면서 스스로 자결하였습니다.형가가 번어기의 목을 들고 진나라 왕에게 다가가 기회를 엿보던 중 공격했으나 결국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고사성어 자강불식의 한자어 뜻은 스스로 자, 강할 강, 아니 불, 쉴 식입니다. 직역하면 스스로 강하게 하여 쉬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즉, 스스로 자신을 강하게 채찍질하여 쉬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역경에 이 사자성어가 나옵니다. 천체의 운행은 건실하고 한치의 오차도 없이 진행한다. 봄이 오고 여름이 지나 가을이 오고 겨울이 오지만 또 다시 봄이 온다. 이처럼 자연은 한치의 오차도 없이 끊임없이 진행된다. 그러므로 군자도 자신을 채찍질하며 끊임없이 성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사성어 권선징악의 한자어 뜻은 권할 권, 선할 선, 혼낼 징, 악할 악입니다. 직역하면, 선을 권하고 악을 징계한다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춘추좌씨전에서 유래하고 있습니다. 제나라에서 공녀를 맞이하러 노나라로 교여가 떠났습니다. 그는 부인 강씨를 데리고 제나라로 돌아왔습니다. 교여가 자기 부인을 높여불렀던 것을 권선징악이라 표현하여 군자가 춘추좌씨전에 기록했습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노골적인 말을 사용하면서도 품위가 있고 빙글빙글 도는 것 같으면서도 잘 정돈된 표현을 하고 있다하며, 악을 징계하고 선을 권장한다고 하며, 성인이 아니고서 어찌 이렇게 표현하겠느냐고 했습니다.

 

 

2020/12/24 - [분류 전체보기] - 어부지리, 견토지쟁, 삼고초려 뜻과 유래

2020/12/14 - [분류 전체보기] - 청출어람, 문전성시, 읍참마속 유래

2020/12/13 - [분류 전체보기] - 근묵자흑, 이심전심, 고육지책 뜻과 유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