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물치지, 거두절미, 단도직입, 용두사미 뜻과 유래
격물치지, 거두절미, 단도직입, 용두사미 뜻과 유래 1. 격물치지 2. 거두절미 3. 단도직입 4. 용두사미 고사성어 격물치지의 한자어 뜻은 바를 격, 궁구할 격, 만물 물, 이를 치, 알 지입니다. 직역하면 만물을 연구하면 알게 된다는 뜻입니다. 즉, 열심히 연구하면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주자는 격물치지를 언급하면서 만물은 한 그루의 나무, 한 포기의 풀에도 각자의 이치를 가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 이치를 꾸준히 연구해나가면 결국에는 만물의 이치를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왕양명도 격물치지를 언급했는데, 그는 격을 궁구할 격이 아니라 바로잡을 격으로 해석하고 물을 만물이 아니라 모든 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격물을 만물을 ..
더보기
금상첨화, 오리무중, 이판사판 뜻과 유래
금상첨화, 오리무중, 이판사판 뜻과 유래 1. 금상첨화 2. 오리무중 3. 이판사판 고사성어 금상첨화의 한자어 뜻은 비단 금, 위 상, 더할 첨, 꽃 화입니다. 직역하면,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입니다. 비단도 아름다운데 꽃까지 더하니 더욱 귀하고 아름답다는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당송 8대 문장가중 한 명인 왕안석의 칠언율시에서 고사성어 금상첨화가 유래합니다. 그는 좋은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술을 마시는 것은 좋은 비단위에 꽃을 더하는 격이라고 표현합니다. 고사성어 오리무중의 한자어 뜻은 다섯 오, 마을 리, 안개 무, 가운데 중입니다. 직역하면, 안개가 오리에 걸쳐 끼어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오리무중은 사건의 행방을 알 수 없을 때, 또 어떤 사람을 도저히 찾을 수 없을 때,..
더보기
산전수전, 설상가상, 상전벽해 뜻과 유래
산전수전, 설상가상, 상전벽해 뜻과 유래 1. 산전수전 2. 설상가상 3. 상전벽해 고사성어 산전수전의 한자어 뜻은 메 산, 싸울 전, 물 수, 싸울 전입니다. 직역하면, 산에서 싸우고 물에서 싸웠다는 의미입니다. 육지에서 전쟁하는 것보다 산이나 강 또는 바다에서 싸우는 게 훨씬 더 힘들고 위험합니다. 육지보다는 산이나 물에서 싸우려면 더 많은 훈련과 체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래서 산전수전을 다 겪었다는 의미는 어느 분야에서 베테랑이며 뛰어난 전문가요 전략가란 의미입니다. 산전수전은 손자의 모공편에서 유래했습니다. 산과 강에서 전쟁할 때의 전술을 다루고 있지만, 이 고사성어에 담긴 의미는 산전수전을 겪은 군사는 힘과 체력, 전투력뿐만 아니라 어떤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는 강인한 정신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더보기